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41)
2024년 노령연금 총정리, 기초연금 꼭 수급받으세요! 어르신들의 생활보장을 위하여 정부에서는 일정한 소득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득 보장으로 노후에 대한 불안감을 줄여주고있는 기초연금. 오늘은 기초연금에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수급자격 및 신청방법 살펴보시고 꼭 기초연금 수급받으시기 바랍니다. 기초연금 기초연금은 정부에서 어르신들의 편안한 노후생활을 돕기위하여 연금 혜택을 국민들에게 공평하게 나누기 위하여 시행하고 있는 제도입니다. 수급자격 만 65세 이상이고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 거주중인 어르신 중 가구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분 ※ 부부 중 한 분만 신청하셔도 부부가구에 해당합니다. 2024년 선정기준액 구분 단독가구 부부가구 선정 기준액 2,130,000원 3,408,000원 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 하위70%가 수급할 ..
2024년 신생아 취득세 감면 총정리 주택을 취득했을 때 내야하는 세금, 바로 취득세입니다. 이 취득세는 지방세로 무시할 수 없는 금액입니다. 나에게 해당되는 감면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잘 살펴봐야하는데요. 혹시 2024년 출산 예정이시라면 꼭 500만원 감면받으시기 바랍니다. 신생아 취득세 감면 2024년에 신생아 취득세 감면이 신설되었습니다. 출산가구가 주택을 구입할 때 발생한 취득세를 500만원까지 100% 감면해주는 제도입니다. 조건도 까다롭지않고, 한도 또한 200만원인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보다 더 높습니다. 자녀 출산 후 5년 이내에 주택을 취득하거나, 주택을 취득한 후 1년 이내 출산하면 500만원 한도에서 취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1주택자 취득세 세율 대략 1%로 보고, 집 가격이 4억이라면 취득세를 모두 면제 받을 ..
신생아 특례대출 총정리 국토교통부는 국회 예산심의 및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신생아특례구입.전세자금대출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오는 1월 29일부터 접수가 시작되며, 대출 신청일 기준 2년 내 출산한 무주택가구에 혜택이 주어집니다. (2023년 1월1일 출생아부터 적용) 2023년 1월 1일 이후 태어난 아기가 있는 집이라면 이번 신생아 특례대출 신청 조건을 잘 살펴보시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신생아 특례대출 저출산 극복을 위한 주거안정방안에 따라 시행되는 신생아 특례 대출. 대출신청일 기준 2년 내 출산한 무주택 가구에 대하여 부부합산 연소득 1.3억원 이하 및 일정금액 이하의 순자산 보유액 요건 등을 갖추면 최저 1.6%의 금리로 최대 5억원까지 주택 구입자금 대출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년 내 출산 기준 : 202..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기 총정리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다가오고 계신가요? 2022년에 많은 분들이 가입하셨을 청년희망적금. 그 때 가입하셨다면 다가오는 2월이 만기일 겁니다. 만기를 앞두고 급하게 돈이 필요하지 않다면 그대로 갈아타는게 좋은데요. 아무거나 갈아타면 안되겠죠? 오늘은 혜택 좋은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꼼꼼히 살펴보시고 높은 금리 챙기시기 바랍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청년희망적금은 계좌에 최대 5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는 적금상품입니다. 금리는 최대 5%+우대금리 1% 정도로, 월 50만원을 2년동안 납입했을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총 원금 1,200만원. 이자(비과세) 75만원. 여기에 장려금 36만원이 더해져 총 1,311만원이 되었을 겁니다. 2년동안 110만원이 더해졌습니다. 천만원이 넘는 목돈을..
자진퇴사하셨나요? 그래도 실업급여 신청하세요 보통 실업급여는 "비자발적 퇴사"를 했을 때 지급됩니다. 하지만 자발적으로 퇴사를 한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자진퇴사 했을 때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 알아보겠습니다. 꼼꼼하게 살펴보시고 실업급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실업급여 실업급여는 국가가 일자리를 잃은 근로자에게 임시로 지급하는 생활비입니다. 일자리를 찾는 동안 일정기간에 걸쳐 금융적인 안전망을 구축하여 경제적인 어려움을 덜어주는게 실업급여입니다. 이는 구직급여와 취업촉진수당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실업급여 조건 보통의 경우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는 조건은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이직 전 또는 퇴사 전 피보험단위기간이 180일 이상 근무했을 때 2. 본인 근로의 의사가 있는데 비자발적으로 퇴사하게 된 경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