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택청약 종합저축 25만원 납입 상향

반응형

주택청약 종합저축은 주택 마련을 돕기 위하여 시행되는 대한민국의 금융 상품입니다. 이를 통하여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에 청약할 수 있게되는 저축 상품으로 내 집 마련을 위한 중요한 첫 단추라 할 수 있습니다. 이 금융 상품은 최소 2만원에서 최대 50만원까지 저축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는 주택 마련을 위해 공공분양주택을 선정할 때에는 월 10만원까지만 납입액을 인정해왔습니다.

 

 2024년 11월 1일부터 이 납입 인정액이 상향되었습니다. 이제는 주택청약 종합저축 월 납입 인정액이 월 10만원에서 월 25만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오늘은 주택 종합저축 25만원 납입 상향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청약 종합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은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에 청약할 수 있는 저축상품으로, 월 2만원부터 최대 5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령제한이 없어서 누구나 가입 가능한 상품입니다. 청약할 때에는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무주택 조건을 충족하면 국민주택 등 청약 신청이 가능합니다. 

 

 

 

주택청약 종합저축 25만원 상향조정

 2024년 11월 1일부터 기존 월 10만원이던 공공분양청약 최대 납입 인정액이 월 25만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기존 월 10만원을 약 12년 동안 1,500만원 저축해야 당첨권에 접근이 가능했다면, 25만원으로 상향된 금액으로 납부한다면 저축 기간이 절반 이상 단축되게 됩니다. 청약 경쟁에서 좀 더 빨리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5만원 상향 혜택

 1. 금리인상

 청약 통장의 금리가 최대 3.1%로 상향되었습니다. 

 

2. 소득공제 확대

 총 급여 7,000만원 이하의 무주택자는 납입액의 40%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부부 및 미성년자 혜택

부부 모두가 청약통장을 가지고 신청 가능해졌으며, 미성년자 청약 시 납입 인정 기간이 확대되었습니다. 

 

4. 청년 우대형 통장

 만 19세에서 34세 이하 무주택자는 최대 4.5% 금리를 적용받는 '청년주택드림통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 예치금은 내 집 마련을 위한 중요한 첫 단계로 집을 분양받기 위한 필수 조건입니다. 청약 예치금액은 주거 형태와 지역에 따라 다르며, 청약 신청자의 점수와 함께 자격을 평가하는 한 요소입니다. 

 

 

 

청약에 당첨되기 위해서는 가점이 높을수록 유리합니다. 이 가점을 높이기 위하여 점수를 쌓아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무주택기간 : 최대 32점

무주택 기간이 길수록 점수가 올라가며 1년에 2점씩 부여됩니다.

2. 부양가족수 : 최대 35점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가점이 높아집니다. 부양가족 1명 당 5점이 부여됩니다.

3. 청약통장 가입기간 : 최대 17점

청약통장을 오래 유지 할 수록 가점이 높아집니다. 1년에 1점씩 부여됩니다.

 

 

 국민주택의 경우 국가 및 지방자치 단체에서 재원을 받아 건설하는 주택입니다. 소득과 자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므로 국민주택 청약에서는 저축 총액이 가장 중요합니다. 납입금액이 높을수록 유리한 구조입니다. 따라서 국민주택이 월 납입액 25만원 상향의 영향을 많이 맏으리라 예상됩니다. 

 

반면 민영주택은 일반 건설사에서 건설하는 주택으로 납입금액보다는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수, 청약통장 가입 기간 등이 중요하게 적용됩니다. 

 

 

기간 단축과 더불어 예치금 기준 금액을 빨리 달성하기 위하여 월 25만원 납입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기존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을 주택청약 종합저축으로 전환 가능합니다. 전환 시 기존의 납입 금액과 기간이 그대로 인정됩니다. 납입금액은 언제든지 변경 가능하며, 주택청약종합저축 25만원 상향 이후에도 횟수 제한 없이 인터넷뱅킹/모바일뱅킹을 통하여 편리하게 처리할 수있습니다. 

 

 

매월 25만원을 납입하면 최대 소득공제 혜택과 함께 주택 청약자격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본인의 재정 상태를 잘 파악하여 무리한 납입은 피하는게 좋습니다. 장기적으로 납입해야 하는 만큼 계획을 잘 세워 내 집 마련에 더 가까워 지기 바랍니다. 

 

  ▣ 알아두면 좋은 정보▣